|
 |
|
 |
|
 |
체중조절과 일반적인 다이어트에 대한 잘못된 인지적 측면(태도, 편견, 의지)과 행동적인 면을 구체적으로 인지하여, 현실적 목표를 설정에 따라 부정적인 측면을 수정하여,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습득하고 습관화하는 자기 조절 프로그램입니다.
각 개인에게 있어 체중감량과 증가에 중요한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실천 가능한 효과적인 방법(환경, 의지, 성격, 시간적 제약 등을 고려)을 전문가의 상담과 측정을 통해 파악하여, 인지적, 행독적 측면에서 체중감량에 효과적인 습관의 변화목표를 설정하여 체중감량에 긍정적인 행동으로의 습관화 하는 것을 말합니다. | | |
|
 |
|
 |
 |
|
 |
|
 |
자기파악(Self-monitoring)과 자기조절 |
|
라이프스타일 분석(Inventory, Interview) |
식사, 운동패턴 분석(Inventory, Interview) |
식사, 운동, 다이어트에 대한 태도 측정(Inventory, Interview) |
체중감량의 현실적 장단점, 의지파악(Readiness Test) |
Food and Nutrition diary를 이용한 구체적인 패턴파악과 인지(Diary, Interview) | |
|
 |
|
 |
 |
|
 |
|
 |
행동수정 목표의 설정(Set a target behavior) |
|
체중조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습관 파악, 습관의 구체적인 단계 파악 |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체중감량에 가장 중요한 목표행동의 설정 |
|
각 Inventory의 분석과 개별상담(Depth Interview)을 통하여 상담자의 조언을 통한 체중감량 |
당사자에 의한 자신의 목표의 설정, 실행 단계의 설정 | |
|
 |
|
 |
 |
|
 |
|
 |
목표행동의 수정 및 습관화(Habituation) |
|
Diary check, Inventory, Depth Interview를 통한 진행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과 그에 따 른 유연한 목표 수정 |
|
전문가와 상담을 통한 인지적 측면의 지원(부정적 사고와 감정의 조절, 극단적 사고의 배제, 올바른 식사와 운동에 대한 태도 개선) |
|
현실적인 영양교육, 운동과 일상 활동에 대한 교육 |
주위의 지원 받기, 체중 조절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의 습득 |
긍정적인 목표에 단계적 접근(Diary check, Inventory, Interview) |
목표행동 성취정도 판단, 다른 목표 행동의 설정 | |
|
 |
|
 |
 |
|
 |
|
 |
장기적인 체중관리(Long-term management) |
|
성취 목표행동의 주기적인 체크를 통한 긍정적 행동의 습관화 |
프로그램 전후의 행동 및 태도 측정을 통한 긍정적인 라이프스타일로의 개선 |
체중관리에 관련된 구체적인 인식변화(Cognitive change)의 유도 |
꾸준한 자기측정과 자극조절 자기관리의 체크와 지원 | |
|
 |
|
 | |
|